종묘 소개 및 관광 정보

728x90

종묘는 조선시대 때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으로, 제사를 지내며 유교 이념을 더욱 공고히 하고 왕권을 강화하였습니다. 종묘에 대해 소개드리고 관광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종묘

 

목차

     

    종묘 소개

    종묘는 조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죽은 뒤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입니다. 역대 임금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은 왕조시대의 으뜸가는 행사이자 통치질서의 기본이었습니다. 국가적인 제사를 지냄으로써 유교의 지배 이념과 왕권을 굳건히 하였습니다. 태조가 1394년(태조 3년) 고려의 옛 도읍지를 벗어나 한양에 도읍을 정하면서 가장 먼저 건설한 것이 종묘입니다. 궁궐의 동쪽에 종묘를 짓는 중국의 제도를 따라 경복궁의 동쪽에 종묘를 세우면서도 한국 고유의 특성을 살렸습니다. 재실을 길게 연결해 장엄한 분위기를 연출하였으며 일체의 장식 없이 최소한의 공간으로 구성하여 엄숙한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하루아침에 소실되었다가 선조 41년(1608년)에 중건 작업을 시작하여 광해군이 즉위한 해에 완공되었습니다. 그 뒤 몇 차례 개수와 중건을 거쳤으며 현재 종묘의 모습은 헌종 2년에 증축된 것입니다. 중묘는 원래 창덕궁, 창경궁과 연결된 하나의 영역으로 동궐이라 불리던 복합궁궐이었습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창덕궁과 종묘를 가로지르는 율곡로를 만들면서 영역이 나뉘게 되었습니다. 종묘 정문 밖은 공원으로 조성되어 공원을 거쳐야 종묘의 정문인 창엽문으로 갈 수 있습니다. 

    종묘일곽은 사적 제125호이며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56,500평 규모로 경내에는 종묘 정전을 비롯하여 별묘인 영녕전, 어숙실, 향대청, 악공청 등이 있습니다. 1985년에 정전은 국보로, 영녕전은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어숙실의 서쪽에 종묘 정전이 자리하고 그 서쪽으로 영녕전, 서남쪽으로 악공청이 있습니다. 종묘의 중심 건물인 정전은 맞배지붕 형식으로 길이가 101m에 달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단일 목조건축이며, 동서로 117m 남북으로 80m의 담장이 둘러져 있는 웅장함으로 보는 사람들을 압도하는 힘이 있습니다. 태조를 비롯한 임금의 신주 19위와 왕비의 신주 30위가 모셔져 있으며, 정전의 남쪽 중앙으로 혼과 향로를 모시는 신문이, 동쪽으로 제례때 제관이 출입하는 동문이, 서쪽으로 악공과 종사원 등이 출입하는 서문이 있습니다. 정전 전면은 돌을 쌓아 동서 109m, 남북 69m 월대를 조성했으며 가운데로 정전의 신실로 이어지는 신로가 나 있어 사묘 건축의 장중함을 드러냅니다. 정전은 신주로 모시는 임금의 수가 늘어날수록 방이 증축되어 지금의 모습을 띄게 되었습니다. 서쪽부터 태조 이하 후대 임금을 모셔 서쪽이 제일 오래된 것입니다. 영녕전은 정면 16칸, 측면 4칸으로 정전에서 옮겨진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있는 별묘입니다. 영녕전에는 왕의 신주 16위, 왕비의 신주 18위가 모셔져 있습니다. 조선시대 때는 재위 중인 임금을 기준으로 5대 이전 임금들의 신주는 영녕전으로 옮기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그중 뛰어난 공적이 인정된 임금만 예외적으로 정전에 계속 모셔둘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5 묘제 관습에 따라 세종 3년(1421년)에 정전에서 나온 신주를 모시기 위해 영녕전이 건립되었습니다. 종묘의 정문 창엽문은 외대문이라고도 하며 세 칸의 평삼문으로 되어 있고 좌우로 종묘의 외곽을 두르는 담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어숙실은 왕이 제례를 올리기 전에 제례를 준비하던 곳입니다. 정전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재궁이라고도 부릅니다. 어재실과 왕세자 재실, 어목욕청이 있습니다. 향대청은 종묘제례에 사용하는 향과 축, 제사 예물을 보관하고 제관들이 대기하던 곳이며, 악공청은 종묘제례 때 음악을 연주하는 악공들이 연습하고 대기하던 곳입니다. 악공청은 정전과 영녕전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정전에 있는 악공청의 규모가 영녕전에 있는 것보다 큽니다. 종묘의 정문인 창엽문으로 들어가기 전에는 예의를 갖추기 위해 말에서 내렸던 하마비가 있습니다. 어정은 종묘공원의 중간길 오른편에 있으며, 종묘를 왕래할 때 임금들이 물을 마셨던 우물이라 어정이라 부릅니다. 

    종묘에서 드리는 제사 의식을 종묘제례라고 부릅니다. 조선시대 때 춘하추동의 첫 달과 12월 섣달에 올리던 대제는 일제 때 중단되었다가 1971년부터 대제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제사 의례에 맞춰 거의 모든 순서에 춤과 음악이 곁들여지며, 이 음악과 무용을 종묘제례악이라 부릅니다. 우리의 고유한 음률을 가진 종묘제례악은 드물게 남아있는 동양의 고전음악으로써 큰 예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은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거행됩니다. 종묘제례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56호이며, 종묘제례악은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이자 2001년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관광 정보

    종묘의 주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57입니다. 자동차로 이동할 시 경부고속도로에서 남산1호터널을 지나면 종묘에 다다릅니다. 주차장은 종묘 앞 종묘공원 지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요금은 10분당 800원입니다. 대중교통 이용 시 지하철 1·3·5호선 종로3가역에서 내려 8번 출구나 11번 출구로 나오시면 되며, 버스는 종로 1가 또는 종묘정류장에서 하차하시면 됩니다. 종묘의 입장료는 개인(만 25세~64세) 1,000원이며 이용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6~8월은 오후 6시 반까지, 11~1월은 오후 5시 반까지)입니다. 매주 화요일은 휴관입니다. 종묘는 언어권별로 관람예약제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홈페이지에서 예약한 후 방문하시면 됩니다. 예약은 한 달 전부터 가능하며 3일 전에 마감됩니다. 10인 미만 개인 관람객은 별도 예약 없이 해설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토·일요일 및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은 자유 관람이 허용됩니다. 종묘 입장권을 구입할 경우 창경궁까지 둘러볼 수 있습니다. 종묘 부근에는 떡박물관이 있어 함께 방문하면 좋습니다. 상설전시실에서 떡 만드는 기구와 팔도의 떡 등을 모형과 함께 살펴볼 수 있으며, 1일 3회 떡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